렌즈를 통해 들어오는 빛의 양을 이미지 센서가 계산해서 적정 노출을 계산하고 이에 맞게 셔터속도나 조리개 값을 결정합니다.
측광을 이야기 하기 전에 자동 노출(Auto Exposure; AE)에 대해 먼저 이야기해야 할 것 같습니다.
카메라는 렌즈를 통해 들어오는 빛을 측정해서 노출량이 gray 18%되도록 노출을 조정하게 되어있습니다.
색은 물체가 가시광선 중 어느 것을 흡수하고 어느 것을 반사하느냐에 따라 결정됩니다. 반사되는 색이 그 물체의 색이 됩니다.
빛을 측정한다는 것은 물체가 반사하는 빛의 측정하는 것입니다.
중학교 미술시간의 기억을 더듬어보면 빛의 삼원색 이야기가 나옵니다.(저도 기억이 잘 안나 구글의 힘을 빌렸습니다.)
빛의 삼원색은 빨간색, 파란색, 초록색이고, 이게 조합되서 우리가 보는 색이 됩니다.
세가지가 다 섞이면 흰색이 되고, 모두 없으면 검은색이 되는 거죠.
다시 이야기하면 물체가 모든 가시광선을 반사하면 흰색으로 보이고, 모두 흡수하면 검은색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흰색은 반사율이 높고(93%), 검은색은 반사율이 낮습니다(3%). 모든 색은 이 반사율이 정해져 있죠.
gray 18%로 만든다는 의미는 그만큼의 빛만 감광 되도록 빛의 양을 조절한다는 것입니다.
흰색이 많으면 빛의 양을 줄여 어둡게 만들고, 검은색이 많으면 빛의 양을 늘려 밝게 만드는 것이죠.
다음 그림은 촬영자가 생각하는 노출과 카메라가 생각하는 자동 노출의 차이입니다.
* 출처 : 미루토스의 사진과 행복이야기, 그림을 편집하여 사용함
우리는 흰색은 흰색으로, 회색은 회색으로, 검정색은 검정색으로 찍고싶어합니다.
하지만 카메라는 흰색, 회색, 검정색 모두 회색으로 찍으려고 합니다.
흰색은 반사율이 높기 때문에 빛의 양을 최소한으로 줄여서(셔터속도를 빠르게 하거나 조리개를 조여서) 회색으로 만들고,
검정색은 반사율이 낮기 때문에 빛의 양을 최대한으로 늘여서(셔터속도를 느리게 하거나 조리개를 열어서) 회색으로 만듭니다.
왜 인지는 모르지만 카메라는 만드는 회사에서 그렇게 되도록 설정을 해 놓은 겁니다.
결과적으로 위의 사진에서 처럼 내가 생각하는 적정 노출과 카메라가 생각하는 적정 노출에 차이가 생깁니다.
카메라는 어떻게든 gray 18%를 만들기 위해 셔터속도나 조리개를 조절합니다.
이 때 노출 레벨 표시기의 눈금은 0에 가 있습니다. 이것이 자동 노출입니다.
단, 수동(M)모드를 사용할 경우에는 노출 레벨 표시기에 선택한 AF 포인트에 해당하는 노출 수준을 표시해 줍니다.
조리개와 셔터를 촬영자가 모두 조절하니 자동 노출이라는 개념이 들어가지 않는 것입니다.
이에 따라서 빛의 양을 일정하게 혹은 촬영자의 의도대로 조절할 수 있는 스튜디오 등에서의 촬영에서는 수동 모드를 많이 사용한다고 합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